정보 공유와 리뷰

지진 강도: 숫자가 말해주는 위험의 크기

톱니바퀴의 꿈 2025. 3. 28. 21:57

 

지진 강도: 숫자가 말해주는 위험의 크기

지진 규모와 강도에 대한 심층 보고서: 개념, 측정, 그리고 한국에서의 적용

1. 지진과 그 측정에 대한 서론

**지진**은 지구의 암석권에서 갑작스러운 에너지 방출로 인해 발생하는 땅의 흔들림 현상으로, **지진파**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자연 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 잠재적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1, 2]. **지진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고려할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규모(magnitude)**이며, 이는 특정 거리에서 표준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동**의 최대 진폭에 비례하는 값으로 정의됩니다 [1]. **지진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리히터 규모**와 **모멘트 규모**라는 두 가지 주요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3]. **지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언제 어디서 지진이 발생할지 더 잘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2].

**지진**을 측정함으로써 과학자들은 **지진의 크기**, **위치** 및 **원인**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지구의 역학을 더 잘 이해하고 **지진**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자연재해**는 항상 인간에게 큰 위협을 가하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심각한 재산 피해를 초래하는데, 특히 **지진**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더욱 그러합니다 [4]. 더욱이, 중요한 국가 기념물, 랜드마크, 문화유산의 상징, 중요한 유물을 보관하고 있는 예술 기관이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다면, 이러한 상징물의 손상은 국가 전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큰 심리적, 문화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 따라서 **지진**을 정확히 측정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안전과 문화 보존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지진**을 정량화하는 주요 방법은 **규모**와 **강도**라는 두 가지 개념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6, 7, 8].

2. 지진 규모의 이해

**지진 규모**는 **지진** 발생 시 **진원(hypocenter)**에서 방출되는 총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척도입니다 [9, 10, 11, 12]. **규모**는 **지진**의 절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이는 **지진**이 발생한 위치와 관계없이 동일한 값으로 표현됩니다 [10, 11].

2.1 리히터 규모 (국지 규모, ML)

**리히터 규모**는 1935년 미국의 지질학자 찰스 리히터(Charles F. Richter)에 의해 개발된 **지진 규모** 측정 척도로, 특히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13, 14, 15, 16, 17]. **리히터 규모**는 특정 거리(원래 100km)에 놓인 특정한 종류의 **지진계**(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에 기록된 가장 큰 **지진파**의 진폭의 상용로그를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1, 9, 12, 15, 18, 19]. 이 척도는 로그 스케일로, 규모가 1씩 증가할 때마다 측정된 진폭은 10배 증가하며,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은 약 31~32배 증가합니다 [5, 15, 16, 17, 18, 20, 21, 22, 23]. 예를 들어, 규모 1 차이는 에너지 양에서 약 32배 차이가 나며, 규모 2 차이는 약 1,024배의 에너지 차이를 의미합니다 [24].

**리히터 규모**에 따른 일반적인 **지진** 영향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규모 1.0~2.9는 매우 약한 **지진**으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느끼지 못하지만 **지진계**에는 기록됩니다 [3, 15, 18, 21, 25, 26, 27]. 규모 3.0~3.9는 약한 **지진**으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느낄 수 있지만 큰 피해를 주지는 않습니다 [3, 15, 18, 21, 25, 26, 27]. 규모 4.0~4.9는 가벼운 **지진**으로 건물이나 다른 구조물에 약간의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낍니다 [3, 15, 18, 21, 25, 26, 27]. 규모 5.0~5.9는 중간 정도의 **지진**으로 부실하게 시공된 건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모든 사람이 느낍니다 [3, 15, 18, 21, 25, 26, 27]. 규모 6.0~6.9는 강한 **지진**으로 인구 밀집 지역에서 잘 설계된 구조물에도 어느 정도의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부실한 건물에는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15, 18, 21, 25, 26, 27]. 규모 7.0~7.9는 매우 강한 **지진**으로 대규모 건물 붕괴와 지형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넓은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고 인명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3, 15, 18, 21, 25, 26, 27]. 규모 8.0 이상은 극도로 강한 **지진**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심각한 파괴와 인명 손실을 일으키며, 지형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3, 15, 18, 21, 25, 26, 27].

2.2 기타 규모 척도

**리히터 규모**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척도이지만, 특히 매우 큰 **지진**의 에너지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3, 15, 17, 21, 28, 29].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멘트 규모(Moment Magnitude, Mw)**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대규모 **지진**의 크기를 평가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척도입니다 [3, 9, 15, 16, 17, 18, 23, 28, 30]. **모멘트 규모**는 **지진** 발생 시 **단층 파열 면적**, **평균 이동량**, **암석의 강성** 등 **지진원**의 물리적 속성을 기반으로 **지진**의 크기를 측정하며, 특히 규모 7 이상의 큰 **지진**에 대해 **리히터 규모**보다 더 정확한 에너지 방출량을 나타냅니다 [9, 15, 17, 23, 28]. **모멘트 규모**가 1 증가하면 진폭은 약 10배, 에너지는 약 30배 증가합니다 [9].

이 외에도 **표면파 규모(Surface Wave Magnitude, Ms)**와 **실체파 규모(Body Wave Magnitude, mb)**가 있습니다 [9, 19, 23]. **표면파 규모**는 지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표면파**의 진폭을 측정하여 결정되며, 주로 얕은 진원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유용합니다 [9, 23]. **실체파 규모**는 지구 내부를 통과하는 **실체파(P파와 S파)**의 진폭을 이용하여 계산되며, 깊은 진원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더 적합합니다 [9, 23]. 그러나 이러한 **규모** 척도들도 매우 큰 **지진**에서는 포화되는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19].

3. 지진 강도의 이해

**지진 강도**는 특정 위치에서 **지진**의 영향, 즉 느껴지는 흔들림, 물체의 움직임, 구조물의 피해 정도 등을 나타내는 정성적인 척도입니다 [4, 8, 10, 11, 12, 13, 14, 31, 32, 33, 34, 35, 36]. **강도**는 **지진**의 **진앙**으로부터의 거리, **지진**의 깊이, 지역의 **지질 조건**(토양의 종류 등), 건물의 종류와 건축 품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동일한 **지진**이라도 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8, 16, 19, 34, 35, 37, 38].

3.1 수정 메르칼리 진도 (MMI) 계급

**수정 메르칼리 진도(Modified Mercalli Intensity, MMI) 계급**은 1902년 이탈리아의 화산학자 주세페 메르칼리(Giuseppe Mercalli)가 개발한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1931년 미국의 지진학자 해리 우드(Harry Wood)와 프랭크 노이만(Frank Neumann)이 수정하여 만든 척도로,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흔들림의 세기를 12단계로 나누어 로마 숫자로 표시합니다 [39, 40, 41, 42, 43].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낮은 단계에서는 주로 사람이 느끼는 진동의 정도에 따라, 높은 단계에서는 건물의 손상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43].

각 진도 단계별 일반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I (미약): 특정한 상황에서 극히 소수의 사람만 느낄 수 있습니다. II (약함): 조용한 상태나 건물 위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만 느낄 수 있습니다. III (약간 강함): 실내에서 뚜렷하게 느껴지며, 정지한 차가 약간 흔들릴 수 있습니다. IV (보통): 실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밤에는 잠에서 깨기도 하며, 그릇과 창문 등이 흔들립니다. V (다소 강함): 거의 모든 사람들이 진동을 느끼고, 일부 그릇이나 창문이 깨지기도 하며, 불안정한 물체가 넘어집니다. VI (강함): 모든 사람이 느끼고, 일부 무거운 가구가 움직이며, 벽의 석회가 떨어지기도 합니다. VII (매우 강함): 잘 설계된 건물에는 피해가 미미하지만, 일반적인 건물에는 약간의 피해가 발생하며, 부실한 건물에는 상당한 피해가 발생합니다. VIII (심각): 특수하게 설계된 구조물에는 경미한 피해가 발생하며, 일반적인 건물에는 부분적인 붕괴를 동반한 상당한 피해가 발생합니다. 부실하게 지어진 건물은 심각한 피해를 입습니다. IX (격렬): 특수하게 설계된 구조물에서도 상당한 피해가 발생하며, 잘 설계된 골조 구조물도 기울어집니다. 일반 건축구조물은 부분적인 붕괴를 동반한 심각한 피해를 입습니다. X (맹렬): 일부 잘 지어진 목조 구조물이 붕괴됩니다. 대부분의 석조와 골조 구조물이 기초와 함께 파괴됩니다. XI (극심): 남아있는 석조 구조물이 거의 없고, 지표면에 심한 균열이 발생하며 지하 파이프가 완전히 파괴됩니다. XII (파괴적): 모든 것이 피해를 입고, 땅에 물결치는 것이 보이며, 지표면이 심하게 뒤틀립니다 [3, 5, 12, 37, 39, 40, 43, 44, 45, 46, 47, 48, 49, 50].

3.2 기타 강도 척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외에도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른 **강도** 척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자체적인 기준인 **일본 기상청(JMA) 진도 계급**을 사용하며, 유럽에서는 **유럽 거시지진도(European Macroseismic Scale, EMS)**가 사용됩니다 [20, 24, 31, 42, 51]. 이러한 다양한 **강도** 척도는 각 지역의 특성과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습니다.

4. 규모와 강도의 차이점

**지진 규모**와 **강도**는 **지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개념이지만, 그 의미와 측정 방식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10, 11, 13, 14, 16, 32, 33, 37, 48]. **규모**는 **지진**이 발생한 근원지(**진원**)에서 방출된 에너지의 총량을 나타내는 절대적인 척도이며, 하나의 **지진**에 대해 단일한 값을 갖습니다 [10, 11, 13, 14, 16, 32, 33, 37, 48]. 반면에 **강도**는 특정 위치에서 느껴지는 흔들림이나 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척도이며, 동일한 **지진**이라도 관측 위치에 따라 여러 개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10, 11, 13, 14, 16, 32, 33, 37, 48].

자동차에 비유하자면, **규모**는 자동차 엔진의 힘과 같고, **강도**는 자동차 내부에서 사람이 느끼는 엔진의 힘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24]. 즉, **지진**이 발생하면 그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규모**는 일정하지만, **진앙**으로부터의 거리, **지질 조건** 등에 따라 각 지역에서 느껴지는 **강도**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10, 11, 16, 32, 36]. 일반적으로 **지진**의 **규모**가 클수록 최대 **강도**도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대략적인 상관관계이며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5, 18, 19, 25, 43].

표 1: 리히터 규모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의 일반적인 상관관계

리히터

규모

일반적인 최대 수정

메르칼리 진도

일반적인 지진 영향
1.0–3.0 I 거의 느껴지지 않음
3.0–3.9 II–III 대부분의 사람이 느끼지만 피해는 거의 없음
4.0–4.9 IV–V 실내 물체가 눈에 띄게 흔들리고 덜컹거리는 소음 발생
5.0–5.9 VI–VII 부실한 건물에 다양한 정도의 손상 발생, 모든 사람이 느낌
6.0–6.9 VII–IX 인구 밀집 지역의 잘 설계된 구조물에 어느 정도 손상 발생, 내진 설계된 건물은 경미한 손상
7.0–7.9 VIII 이상 대부분의 건물에 손상 발생, 일부는 부분적 또는 완전히 붕괴, 잘 설계된 건물도 손상 가능성 있음
8.0 이상 VIII 이상 건물에 심각한 손상 및 파괴, 튼튼하거나 내진 설계된 건물도 큰 손상 가능성 있음

5. 한국에서의 지진 규모와 강도

한국에서는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과 피해를 설명하기 위해 주로 **수정 메르칼리 진도(MMI) 계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0, 24, 42, 43, 48, 51]. 과거에는 **일본 기상청(JMA)의 진도 계급**을 사용했으나, 2001년부터 국제 표준인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20, 24, 31, 42, 51]. 특히, 대한민국 내 **지진** 발생 상황을 고려하여 2018년 11월부터 한반도 지진학적 특성이 반영된 고유의 진도 기준인 "**한국형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43].

기상청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의 각 단계를 **최대 지반 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 단위: %g)**와 **최대 지반 속도(Peak Ground Velocity, PGV, 단위: cm/sec)**를 기준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43, 48, 50, 52]. 이는 관측된 **지진파** 데이터를 기반으로 **강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43, 50].

한국에서 발생했던 주요 **지진** 사례를 통해 **규모**와 **강도**의 관계 및 실제 영향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삼국시대부터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던 기록이 있으며 [53, 54, 55, 56, 57, 58], 현대에 들어서는 2016년 **경주 지진**(규모 5.8)과 2017년 **포항 지진**(규모 5.4)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20, 55, 57, 58, 59]. **경주 지진** 당시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IV 정도의 흔들림이 느껴졌고, 강원도에서는 진도 II가 감지되었습니다 [20]. **포항 지진**은 이재민과 막대한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며, 당시 경상북도 지역에서 더 강한 흔들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57, 59]. 최근에는 2025년 2월 7일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60].

표 2: 한국의 주요 지진 (역사적 및 최근)

발생일시 위치 규모

수정 메르칼리 진도

(추정 또는 보고)

주요 영향
779년 3월 경주 6.7–7.0 (Mw 추정) IX (추정) 100명 이상 사망, 가옥 다수 붕괴 [53, 55]
1518년 서울 6.7 (Mw 추정) IX (추정) [55]
1643년 울산 6.7–7.4 (Mw 추정) IX–X (추정) 성벽 붕괴, 쓰나미 발생 [55, 56]
1681년 양양 7.5 (Mw 추정) IX (추정) 쓰나미 발생, 한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 [55]
1978년 9월 16일 상주 5.2 (ML)   [55]
1978년 10월 7일 홍성 5.0 (ML)   [55, 56, 58]
2003년 3월 30일 옹진 5.0 (ML)   [55]
2004년 5월 29일 울진 5.2 (ML) V (추정) [48, 52, 55, 56, 58]
2016년 7월 5일 울산 동구
동쪽 해역
5.0 (ML)   [55, 61]
2016년 9월 12일 경주 5.8 (ML) / 5.4 (Mw) VII (추정) 이재민 발생, 재산 피해 발생 [20, 55, 56, 59, 61]
2017년 11월 15일 포항 5.4 (ML) / 5.4 (Mw) VI-VII (추정) 이재민 다수 발생, 막대한 재산 피해 발생 [20, 55, 57, 58, 59]
2025년 2월 7일 충주 3.1 (ML)   경미한 진동 보고 [60]

6. 지진 피해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진의 규모** 외에도 **지진 피해**와 사람이 느끼는 정도(**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지진 발생 깊이(진원 깊이)**가 얕을수록 지표면에 전달되는 흔들림이 강해져 피해가 커질 수 있습니다 [16, 19, 37]. 또한, **단층의 종류**(주향이동 단층, 역단층 등)에 따라 발생하는 **지진파**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지역에서의 흔들림 **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역의 **지질 조건**(예: 연약한 토양 또는 단단한 암반)도 **지진파**의 증폭 또는 감쇠를 유발하여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6, 19, 37].

**본진** 이후에 발생하는 **여진**은 비록 규모가 작더라도 이미 약해진 구조물에 추가적인 손상을 입히고 복구 작업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5].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에서 낮은 **강도** 단계는 주로 사람이 느끼는 흔들림에 기반하는 반면, 높은 **강도** 단계는 관찰된 구조적 피해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12, 39, 43]. 이는 약한 **지진**의 경우 인지된 흔들림이 주요 정보원이 되지만, 강한 **지진**의 경우에는 실제 피해 정도가 **강도**를 평가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7. 결론 및 추가 질문

**지진 규모**는 **지진**의 근원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절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반면, **지진 강도**는 특정 위치에서 느껴지는 흔들림과 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척도입니다. **지진 규모**는 **리히터 규모**와 **모멘트 규모**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지진 강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통해 평가됩니다. 이 두 가지 측정 방법은 **지진** 위험을 평가하고 그 영향을 이해하는 데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보고서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질문을 던져 더 깊이 있는 탐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활성 단층과 지질학적 취약성을 고려할 때, 한국의 특정 지역에서 **지진 위험 요인**은 무엇이며,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어디인가[53, 62]?
  • 한국의 건축 법규 및 인프라 설계는 **지진 위험**을 어떻게 고려하고 있으며, **내진 기술** 분야에서는 어떤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가[5]?
  • 한국의 **지진**에 대한 대중의 인식 및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비상 대응 및 복구를 위한 어떤 조치가 마련되어 있는가[3]?
  • 한국의 **지진 발생 빈도** 및 **규모**는 세계의 다른 **지진 활발 지역**과 비교하여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4]?

이러한 질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한국의 **지진 위험**을 더 잘 이해하고, 미래의 **지진**에 대한 대비 및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Q: 지진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A: 지진 발생 시에는 튼튼한 탁자 아래로 몸을 숨기거나, 벽에 붙어 몸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머리를 보호하고,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안전한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Q: 지진 대비를 위해 가정에서 준비해야 할 물품은 무엇인가요?

A: 비상식량, 물, 라디오, 손전등, 구급약품, 담요 등 생존에 필요한 물품을 담은 비상 가방을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과 비상 연락망 및 대피 장소를 미리 정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Q: 한국에서 지진 발생 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어디인가요?

A: 기상청 웹사이트(https://www.kma.go.kr)나 한국지진정보센터(https://www.earthquake.kr)에서 지진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난방송을 통해 정부의 안내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의 지진 위험 지도
단층 시각화